As i wish

기생충 - 보이지 않는 계급 사회 본문

Movie

기생충 - 보이지 않는 계급 사회

어면태 2019. 6. 2. 10:32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의 가장 화제작인 영화 '기생충'에 대하여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저의 포스팅에는 스포일러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단 이 영화는 권위 있는 영화제인 '칸 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황금 종려상'을 받으며 이목을 집중시켰는데요.

봉준호 감독의 신작이기도 해서 사실 개봉전부터 큰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죠. 그러나 개봉 전 부터 정말 보여주는 정보가 너무 없었습니다.

사실 간략한 줄 거리는 다들 아시다시피 가난한 가장 기택 (송강호 역)의 장남인 기우 (최

우식 역) 이 부잣집 박사장 (이선균 역), 연교 (조여정 역)에 위장 취업하면서 벌어지는 일이 됩니다. 간단한 예고편만 봐도 사실 '아 기우가 기생충 같은 역할이구나'라고 금방 알 수 있죠.

하지만 실제 영화를 보면 처음에는 기우만 박사장 집에 들어가지만 기우로 인해 기택의 가족 전부 다 박사장 집에 위장 취업을 하게 됩니다. 심지어 원래 박사장 집에서 일하던 가정부 (이정은 역)을 몰아내면서 말이죠. 가정부는 이 집에 박사장이 오기부터 이 집에 가정부로 일하는 사람이었고 박사장이 이사 왔을 때 원래 이 집에 주인으로부터 박사장에게 소개되어 자연스레 계속 일하게 된 케이스입니다.

이렇게 영화 전반 부 에는 기택의 가족들이 위장 취업하는 모습들을 보여주는데 참으로 재미있습니다. 마치 기생충이 숙주에 들어가는 모습, 또는 바퀴 벌레나 곱등이가 우리가 사는 집에 들어오는 모습처럼 보이죠.

심지어 연교는 이들의 말의 계속해서 속아 넘어가는데요? 그 장면도 참 재미있습니다. 매우 유능한 박사장과 어떻게 보면 조금 무식하다고 볼 수 있는 와이프 연교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둘이 좋은 부부 사이일까?라는 생각도 들게끔 합니다.

또한 박사장은 박사장의 기사로 취업하게 된 기택에게 자꾸 '선을 넘지 말라'라고 얘기를 하는데요. 그럼에도 기택은 운전하면서 자꾸 박사장을 보려고 뒤를 돌아보고, '그래도 와이프를 사랑하시죠?' 같은 말을 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게끔 하면서 영화 내내 은근한 긴장감을 유지해줍니다.

영화는 박사장의 아들인 다송의 생일부터 기점이 바뀌기 시작합니다.

그 앞에는 취업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재밌는 장면들도 많이 나오고 약간 블랙코미디? 같은 장르 같은데, 비가 많이 오던 다송의 생일날을 기점으로 스릴러로 바뀌게 되죠.

다송의 생일로 인해 박사장의 가족들이 집을 비운 사이, 기택의 가족들은 마치 자기 집인 양 술도 마시고, 목욕도 하고 아주 천하태평처럼 지냅니다. 정말 기생충처럼 지냅니다. 그러다 잘린 가정부가 방문하게 되고 박사장 지하 깊숙한 곳에 자기 남편이 사는 것을 기택의 가족들은 알게 됩니다. 또한 가정부 역시 기택의 가족들이 다 가족이고 위장 취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죠. 결국 서로가 둘 다 박사장의 '기생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싸우게 되고 싸움은 결국 기택의 가족의 승리로 끝나려는 찰나의 박사장의 가족들이 돌아오게 되죠.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어쩔 수 없이 돌아오게 된 겁니다. 그때 이 기택의 가족들은 정말 바퀴벌레가 숨듯, 다들 후다닥 숨어 버립니다. 

이 점에서 저는 마음속으로 '제발 걸리지 마라'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어떻게 보면 죄를 짓고 있는 사람들은 기택의 가족인데 영화는 오히려 기택의 가족을 착한 사람, 박사장을 나쁜 사람처럼 만듭니다. 사실 박사장 네 가족은 잘 못한게 없는데 말이죠. 그럼에도 우리는 또는 저는 기택의 가족의 편을 들게 되더라고요. 그게 동정인지, 아니면 우리 사회가 만든 계급사회에 대한 적응인지는 모르겠지만요.

또한 박사장네 지하 깊은 곳에는 이미 기생하고 있는 이전 가정부의 남편이 있었는데요. 박사장이 퇴근할 때마다 계단의 불을 켜주며 박사장에게 충성을 다하는 모습이 참으로 놀랍고도 소름 끼쳤습니다. 그는 사실 열심히 사는 소시민이었는데, 사업의 실패로 박사장의 집에 기생하게 되었으며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도 모른 체 숙주를 위해 충성을 다하는 어떻게 보면, 시스템에 적응해 버린 사람 같더라고요. 마치 영화를 보는 내내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 같아서 마음이 참 불편했습니다.

어떻게든 살아가려고 아등바등하는 모습, 이미 사회의 시스템에 굴복해서 살아가려는 모습, 사실 어찌 보면 우리는 가정부와 기택의 가족이 싸울게 아니라 둘이 힘을 합쳐 박사장과 싸워야 하는 잔다르크적 모습이 필요한 건데, 우리는 이미 보이지 않는 계급사회에 갇혀 버려 우리끼리 조그마한 자본을 먹고 사려고 경쟁하는 모습이 참으로 안타깝고도 씁쓸하게 느껴졌습니다.

어찌어찌 박사장 네 집을 빠져 나온 기택의 집은 물난리로 거의 잠기게 되었죠. 그러고 수재민 시설에서 잠을 청하는데, 박사장네 집은 그렇게 많은 비가 와도 아무 탈 없이 지나가게 됩니다. 그러고 다음날 다송의 생일잔치를 다시 해주게 되는데 이때 사건이 터지죠. 지하실에 갇혀 있던 가정부와 남편을 완전히 없애려고 기우가 들어가지만 되려 가정부의 남편에게 일격을 당하게 되고 가정부의 남편은 다송의 생일잔치에서 기택의 가족들을 다 없애 버리려고 하죠. 기정 혼자 칼에 맞아 죽음을 맞이하게 되지만 기택은 가정부의 남편을 죽이고 오히려 박사장을 죽이게 됩니다.

이전부터 박사장은 기택이 다 좋은데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얘기를 하죠. 그에 기택의 딸 기정은 반지하의 냄새다 라고 말을 하죠. 심지어 비가 많이 오던 날 박사장 네 부부가 소파에, 기택의 가족은 테이블 밑에 숨어 있을 때에도 박사장은 연교에게 기택이 냄새가 난다 하는데, 연교는 잘 모르겠다고 합니다. 그러나 연교가 이 말을 들은 후 기택의 차에 탔을 때 냄새를 느끼는 장면들이 있죠.

또한 박사장은 그 냄새를 싸잡아서 지하철 타는 사람들 냄새라고 하는데 기택의 가족들에게 잘해주는 척 보이지만 사실은 위선적인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는 높은 계급의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았어요. 또 집안에 원래 기생하고 있던 가정부의 남편 역시, 겉으로는 아주 깔끔하고 세련돼 보이지만 깊은 속에는 썩어있는 무언가가 있는 요즘 세대의 높은 계급에 사람들을 상징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어요. 물론 다 그런 건 아니지만요.

이렇듯 난리가 났을 당시 기택은 선을 넘는듯한 느낌을 보여주는데요. 가정부의 남편이 죽었을 때에 박사장이 자신의 손으로 코를 막으며 냄새가 난다는 제스처를 취했을 때 기택은 순간적인 분노를 느끼게 된 것 같아요. 가정부의 남편도 사실 자신처럼 사업을 하다 망해서 이렇게 살아가는데 특히 감독은 '대만 카스텔라'라는 공통점을 만들어 기택이 가정부의 남편을 자신의 거울처럼 느끼게 만든 것처럼 보이죠.

실제로 박사장을 죽이고 기택은 가정부의 남편이 살던 이 대저택의 지하실의 몸을 숨깁니다. 자신이 다시 기생충이 된 거죠. 어떻게 보면 자신의 거울 처럼 보였던 가정부의 남편처럼 자신도 그 삶을 택하게 된거죠.

그렇게 기정은 죽고, 기택의 아내, 기우는 재판에서 집행 유예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기택은 대저택의 지하실에서 아무도 모르게 살게 되고 또 우리 사회의 다른 사람은 그 집에 아무 일도 없던 마냥 새 입자를 넣게 됩니다. 계속해서 언급했던 보이지 않는 계급 사회에서는 밑에 계급이 어찌 되든 위에 계급 사람들은 신경도 안 쓴다 라는 모습을 보여주는 듯했습니다.

결국 아래 계급 사람들이 아등바등 살려고 해도, 위에 계급 사람들에게는 그저 타격도 안 올 만큼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거죠.

사실 가정부의 남편이 지하실에서 숨어 살 때, 전등을 이용한 모스 부호로 다송에게 몇 번 보낸 적이 있는데 다송은 이를 해석하지 못하죠. 컵스카우트인데도 불구하고, 그러나 기택이 숨어 살게 되고 전등으로 모스 부호를 보낼 때 기우는 정확히 해석하게 되는데요.

이 장면 역시 앞서 언급했던 계급사회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밑에서 신호를 아무리 보내도 위에서는 쳐다보지도 않는 잔인함, 이것이 이 사회가 주는 잔인함이 아닐까요? 어찌 되었든 계급은 암묵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사실 기택은 힘들게 살고 있지만 가정부보단 위에 계급이라고 보입니다. 그래서 기정은 계속해서 밑에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자 라고 하지만 기택은 암묵적으로 그들의 입을 막아 버리죠. 어찌 보면 박사장 -> 기택 -> 가정부 남편 순으로 계급이 존재하고 역으로 올라오는 말은 들으려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죠.

또 한 가지 영화가 씁쓸한 점은 기우에 마지막 말인데요. 열심히 돈을 벌어서 이 대저택을 사고 아버지를 지하세계에서 구출해 주겠다고 말을 하는데 사실 영화를 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허황된 꿈'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사실 '허황된 꿈' 인 것 맞지만 좋은 사회라면 허황된 꿈이 아니라 그래 꼭 이뤄내서 아버지를 구출해라 라고 생각이 들겠죠. 

그러나 우리는 이미 이 사회 시스템에 적응되었고 그래 '허황된 꿈'이나 꿔라 너는 절대 못 살 것이다 라는 틀에 박혀 버린 생각을 하게 되면서 이런 생각을 하는 저에게 소름이 돋았습니다. 어찌 보면 내가 기생충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나의 숙주는 무엇이고 나는 언제부터 이 지하세계에 갇혀 나의 존재를 잊어버렸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 되더라고요. 마치 가정부의 남편처럼 '어떻게 보면 원래부터 내가 여기 있었던 것 같아'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어요.

 

참으로 웃다가 슬퍼지기까지 하는 영화네요. 과연 나는 어떤 숙주에 붙어 있는 기생충일까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