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드릴
- 클로즈가드
- 노드
- graphQL
- JavaScript
- 영화감상
- 리액트
- 디자인패턴
- nodejs
- 솔로드릴
- 파이썬
- 주짓떼로
- 엄티로드
- development
- 하프가드
- 개발자
- git
- web
- 개발
- 영화리뷰
- 영화
- 자바스크립트
- Redux
- REACT
- 웹개발
- Express
- 주짓떼라
- 프로그래밍
- Node
- 주짓수
Archives
- Today
- Total
As i wish
[Jenkins] Jenkins port 변경 본문
안녕하세요 엄티입니다.
코드를 디플로이 할 때에 Jenkins 를 많이 사용하는데, 제 로컬에서 Jenkins를 사용 할 때에 포트가 8080으로 고정 됩니다.
그렇게 포트를 고정해 버리면 흔히 사용하는 8080 을 못쓰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독보적인 포트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9090으로 고정을 시켰죠.
먼저 젠킨스 설치를 합니다.
macOS Installers for Jenkins LTS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jenkins.io
여기서 하라는 데로 brew를 이용하여 설치를 해주면 됩니다.
그 후
- brew services start jenkins-lts
- brew services restart jenkins-lts
- brew services stop jenkins-lts
위와 같은 명령어로 제어 해주면 됩니다.
설치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으니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Jenkins] 윈도우 Jenkins 설치, 기본설정 (1)
나빼고 다 쓴다는 젠킨스를 한 번 써 봅시다. 목표는 maven 프로젝트를 github에 푸시하면 자동으로 빌드하고 배포까지 하는 겁니다. 다운로드&설치 https://jenkins.io/download/ 로 들어가 각 환경에 맞는 LTS..
kutar37.tistory.com
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설치가 완료 된 후
usr/local/Cellar/jenkins-lts/2.204.1/homebrew.mxcl.jenkins-lts.plist
여기로 들어가 줍니다.
그럼 거기서 port 번호를 8080에서 9090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httpPort=8080 -> --httpPort=9090
그 다음 restart 해주면 끝!!!!!
'Develo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gExp] 정규식 포기자를 위한 가장 쉬운 정규식 (0) | 2020.02.19 |
---|---|
[FrontEnd] 네이버 FE-NEWS (0) | 2020.02.15 |
[CSS] nth-child 란 (0) | 2020.01.05 |
[CSS] 선택자 비교 (공백, > // +, ~) (0) | 2020.01.05 |
도메인 -> Route 53연결 (0) | 2019.12.29 |
Comments